본문 바로가기

코딩이란 무엇이지? - 알기 쉽게 코딩 매력에 풍덩

 

코딩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코딩하면 이상한 코드가 연상되어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 포스팅을 놓치지 마시길 바랍니다. 누구나 알기 쉽게 코딩의 매력을 느낄 수 있습니다. 

 

코딩은 모바일 어플 만드는 업체, 비디오 게임회사에 취직하거나 스마트폰 앱을 직접 만들어 Play 스토어에 파는 등 다양한 길이 많습니다.

 

 

먼저 코딩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프로그램에 대해서 선택하는 방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목차 -

1. 코딩이란?

2. 프로그램 코딩이란?

3. 코딩이 사용하는 기호는?

4. 프로그램 언어가 뭐지?

5. 나는 어떤 프로그램 언어를 선택하지?

6. 나만의 가상세계 그리고 미래

7. 의무교육 코딩이란?

 

 

코딩이란?

1. 코딩이란?

일반 사람들이 가장 어렵게 느끼는 단어가 바로 "코딩"이라는 글자인데요. 

 

어떤 영화에서 컴퓨터를 잘 만지는 사람이 키보드에 빠른 손으로 막 두두리면 모니터 화면에서 알 수 없는 코드들이 막 나옵니다.

 

이런 거 때문에 매력을 느끼는 반면 어렵게 느껴지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코딩을 의사를 전달하는 기호정도로 생각하면 편합니다.

 

일상생활에서 자주 하는 사용 하는 세탁기에 대해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빨래를 하기 위해서 세탁기에 세탁 버튼을 누르면 물이 나오고 빨래 양에 따라서 물이 나오다가 알아서 멈춘 후 빨래가 돌아갑니다.

 

미리 설정된 헹굼 몇 번, 탈수 몇 분으로 총시간까지 액정에 표시됩니다. 빨래 끝나면 멜로디로 알려줍니다.

 

이 모든 과정을 어떤 기호로 만들어 세탁기 안에 심어둔 것입니다.

 

세탁기가 시작부터 끝나는 시점까지 이 모든 과정을 만드는 작업을 "코딩한다"라고 말하고 코딩이 다 끝나면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라고 표현합니다.

 

세탁기 안에 세탁이 자동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나의 프로그램이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2. 프로그램 코딩이란?

어떤 특정한 일을 하기 위한 또는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든 것을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램에는 크게 2가지로 나누는데 컴퓨터의 전원 버튼을 켜면 바탕화면이 보일 때까지 돌아가는 것이 시스템 프로그램입니다.

 

그리고 바탕화면에 보이는 아이콘들은 각각 프로그램에 연결되어 있고 이것을 포함하여 인터넷 창, 계산기, 게임, 워드, 한컴 등을 응용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응용프로그램을 영어로 하면 애플리케이션(어플리케이션)이고 이것을 줄여서 앱(어플)이라고 말합니다.

 

모든 프로그램과 앱은 코딩 작업을 통해서 만들어집니다.

 

코딩은 기호라고 설명했는데 우리가 사용하는 자음, 모음, 알파벳, 세모, 네모, 점 기타 등등 정말 다양한 기호들이 있습니다.

 

 

그러면 코딩할 때 어떤 기호를 사용할까요?

 

 

3. 코딩이 사용하는 기호는?

사용하는 기호는 A, B, C 등 영문 알파벳과 +, -. x, ÷ 연산기호와 { }, [ ] 소대괄호 기타 등등 조합으로 만듭니다.

 

컴퓨터를 만든 나라는 미국이기에 사용하는 기호를 A, B, C 등 알파벳으로 했지만 만약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컴퓨터를 만들었다면 ㄱ, ㄴ, ㄷ 등 한글로 했을 겁니다.

 

이런 기호들을 사용해 작업하는 과정을 코딩이라고 하는 것이고 코딩을 통해 목적에 맞게 만들어진 것을 프로그램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코딩할 때 일련의 규칙이 있어야 누구라도 사용하고 수정하고, 업데이트가 가능한 프로그램이 되는 것입니다.

 

한국사람이 사용하는 문자 기호는 한글이고 한글에도 일련의 규칙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구상에는 많은 문자 언어가 있고 규칙이 있습니다.

 

코딩할 때도 일련의 규칙으로 의해 만들어지고 한 묶음 규칙들에는 각자 이름이 있습니다. html, Per, PHP, C, C++, Java, 베이직, 델파이 기타 등등 종류가 다양하며 이것들을 프로그램 언어라고 말합니다.

 

코딩하기 전 어떤 목표를 가지고 만드는지에 따라서 프로그램 언어 선택이 다릅니다.

 

 

4. 프로그램 언어가 뭐지?

지금 보고 있는 화면, 즉 홈페이지를 만들 때 역시 코딩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고 이 프로그램 언어 이름을 html이라고 합니다.

 

어떤 특정 목표로 만들 때 여러 프로그램 언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을 만든다면 기본적으로 html 들어가고 css, php 나 자바스크립트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앱에서 사용하는 언어,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언어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언어 이름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그램 언어 종류를 알아야 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고 다른 것이 더 중요합니다.

 

 

5. 나는 어떤 프로그램 언어를 선택하지?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가 있는데 만약 프로그램을 만드는 일에 관심이 있다면 프로그램 이름의 종류에 신경 쓰는 것보다 어떤 목적, 내가 무엇을 만들고 싶은지에 초점을 맞춥니다.

 

예를 들어 홈페이지를 만드는 일을 하고 싶다면 IT컴퓨터 학원에 가서 배우면 됩니다.

 

또한 스마트폰에서 여행할 때 자주 하는 영어 앱을 만들고 싶다면 모바일 어플개발 학원에 가서 배우면 됩니다.

 

어플 개발이나 웹프로그램 관련된 일에 관심이 있다면 보통 학원에 다니는데 거의 대부분 국비지원 무료교육으로 진행되오니 국민내일배움카드를 알아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6. 나만의 가상세계 그리고 미래

코딩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면 내가 만들고 싶은 가상의 세계를 얼마든지 만들 수 있습니다.

 

코딩을 조금 하면 다른 홈페이지를 이용하거나 앱을 사용할 때 에러나 어떤 불편함에 대해서 이해가 되고 개선점에 대해서 생각하게 됩니다.

 

또한 그 사이트나 앱을 자신이 직접 만들어 더 편리하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어떤 앱개발자들은 보수가 없어도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만들어 실력을 쌓거나 모임에 가입해 활동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개발자 모임 중 한곳으로 세미나, 취업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언어 정보 커뮤니티

 

또한 아래는 코딩카페로 스터디모임이나 공부 등 각종 언어 공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코딩카페

 

 

현재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가상의 세계로 먹고사는 회사는 주가도 더 올라갈 것이고 무궁무진하게 발전할 것입니다.  

 

국내로 보면 네이버, 카카오가 있고 해외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가 있습니다.

 

냉난방, 냉장고, 커튼 등을 가전제품을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조절할 수 있는 세상입니다.

 

일부는 무인으로 가는 전동차가 있지만 앞으로 미래는 인공지능이 탑재되는 무인 차동차가 열리는 세상이 올 것입니다.

 

이 모든 것을 만들 때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게 아니라 사람의 손가락 코딩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코딩은 꼭 직업이 아니어도 취미로도 얼마든지 가능한 분야입니다. 

 

 

7. 의무교육 코딩이란?

2018년부터 초등학교에서 코딩수업을 의무교육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초등학생들을 미래의 프로그램 개발자로 양성하기 위한 교육 목적이 아니라 논리적인 사고, 문제해결능력을 배양하기 위함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수학이나 과학을 배울 때 수학자나 과학자가 되기 위해서가 아니라 수학적/과학적인 사고를 기르기 위함입니다.

 

코딩으로 한 덩어리 프로그램을 만들 때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코딩하면서 오는 문제들 그리고 이것을 논리적으로 풀어야만 제대로 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기에 기본교육으로 지정이 된 것입니다.

 

미국의 스티브잡스는 코딩을 배우게 되면 생각하는 방법을 가르쳐 준다고 말했고 빌게이츠는 어떤 분야에 상관없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준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만큼 코딩의 중요함을 말해줍니다.

 

 

이상으로 코딩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알아봤고 왜 중요한지 그리고 앞으로 미래 전망까지 알아봤습니다.